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Tags
- DISK
- centos
- fdisk
- Query
- xen
- port
- resize2fs
- EC2
- ntp
- 리눅스
- EBS
- AWS
- awscli
- onpromise
- DELETE
- x-real-ip
- Windows
- deragistration
- ubuntu
- nvme
- VPN
- Linux
- mysql
- terraform
- 아마존
- x-forward-for
- 센토스
- 인스턴스타입
- Error
- RDS
Archives
- Today
- Total
목록sg350 (1)
Cloud

서버의 케이블링등의 문제로 인하여 서버가 어떤 스위치 포트에 연결되어있는지 모를때 확인 방법입니다. 모델 : cisco sg350 (카탈리스트를 요새 안써서 SG 모델에서만 확인함) 스위치 터미널로 접속하셔서 작업하시면 됩니다. (enable 모드에서 입력) 이를 위해서는 해당 서버의 인터페이스(랜카드) 의 맥어드레스를 알아야 합니다. (ifconfig -a 를 이용.) sh mac address-table address mac-addr switch#sh mac address-table address 18:31:bf:0a:b7:18 Flags: I - Internal usage VLAN Aging time is 300 sec Vlan Mac Address Port Type ------------ ----..
네트워크
2020. 1. 29. 18:31